정부가 신종 코로나바이러스 감염증(코로나19)의 치명률이 계절독감 비슷한 수준이라고 재차 설명했다.
손영래 중앙사고수습본부(중수본) 사회전략반장은 15일 브리핑에서 “(코로나19 대응에서) 치명률 관리가 상당히 중요하다”라며 “최근 4주간 치명률은 0.1%보다는 낮게 나오고 있어서, 단기 치명률은 현재 계절독감과 유사한 수준”이라고 밝혔다.
손 반장은 이어 “연간 계절독감 사망자는 2천500~5천명, 폐렴 사망자는 몇만 명 수준으로 발생한다”라며 “(코로나19의) 전체적인 사망 규모를 다른 질환과 비교·분석할 필요가 있다”라고 설명했다.
정부는 “지난 1주간 일평균 코로나19 사망자가 229명에 달하고 전날 하루에만 293명이 숨지는 등 사망자 수가 증가하고 있으나, 치명률은 다른 국가에 비해 낮은 편”이라고 강조했다.
박향 중수본 방역총괄반장은 “미국과 프랑스의 누적 치명률은 각각 1.21%, 0.61%이고, 우리는 누적 치명률이 0.15% 수준이고 점차 낮아지고 있다”라며 “인구 10만 명당 사망자 수로 비교해도 우리나라는 (미국, 프랑스의) 10분의 1 수준”이라고 주장했다.
다만 확진자수 증가 상황은 시차를 두고 위중증 환자와 사망자 증가로 이어지는 패턴을 보이고 이는 만큼 유행이 정점을 지난 뒤에도 위중증·사망자 수는 계속 늘어날 수 있다.
이와 관련해 손 반장은 “위중증 환자와 사망자 수는 유행 정점 2∼3주 이후까지 계속 증가할 것”이라고 우려를 표했다.
박 반장은 “정부는 중증과 사망 최소화를 목표로 방역과 의료체계를 계속 재편하며 대응해 나가고 있다”라며 “현재 위중증 환자 2천 명까지는 안정적인 대응이 가능하고 병상 운영을 효율화할 경우 2천500명 정도까지는 감당할 수 있다”라고 설명하기도 했다.